왜소행성 '강등' 명왕성 행성지위 논쟁 재점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기자
작성일18-09-10 14:12
조회987회
댓글0건
본문
태양계의 제9 행성에서 왜소행성으로 강등된 명왕성에 다시 행성 지위를 부여해야 한다는 새로운 논문이 제기돼 명왕성을 둘러싼 해묵은 논쟁이 재점화됐다.
10일 스페이스닷컴 등 과학전문 매체에 따르면 센트럴플로리다대학 행성 과학자인 필립 메츠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 200년간의 학술 문헌을 검토한 결과, 명왕성의 행성 탈락 이유가 된 '깨끗한 궤도' 조항은 역사적으로 근거없는 잘못된 기준이라고 과학저널 '이카로스(Icarus)' 최신호에 밝혔다.
국제천문학연합(IAU)가 지난 2006년 표결로 행성의 정의를 바꿔 명왕성을 탈락시킨 근거로 삼은 기준을 정면으로 문제 삼은 것이다.
당시 천문학자들은 행성이 ▲태양 주위를 돌고 ▲구형(球形)을 유지할 수 있는 중력을 행사하기에 충분한 질량을 갖고있어야 하며 ▲궤도 상에 다른 천체가 없어야 하는 등 3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명왕성은 앞의 두 가지 조건은 충족했지만 태양을 도는 궤도가 얼음과 암석이 몰려있는 '카이퍼 벨트'와 겹쳐 마지막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고 왜소행성 '134340 플루토'로 강등됐다.
메츠거 박사 연구팀은 그러나 이 세 번째 기준이 규정을 바꿀 당시에는 과학자들이 소행성과 행성을 구별짓는 표준으로 주장돼 받아들여졌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했다.
지난 200년간의 학술문헌을 검토했지만, 이 기준을 적용한 연구는 1802년 태양계에서 최초로 왜소행성 '세레스(Ceres)'가 발견된 직후 단 한 차례밖에 없었으며, 그마저도 나중에 틀린 것으로 입증됐다는 것이다.
메츠거 박사는 "IAU의 행성 정의는 누구도 사용하지 않는 개념을 토대로 만든 것"이라며 이런 잘못된 정의로 인해 "우리 태양계에서 지구 다음으로 복합적이고 흥미로운 행성을 배제하게 됐다"고 했다.
지질학적으로 명왕성은 지구 다음의 가치를 갖고 있으며, 화성보다 더 역동적이고 생동감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15년 뉴허라이즌스호의 관측을 통해 명왕성에는 거대한 얼음 산과 지표면 밑의 대양, 구름이 있는 다층 대기, 고대 호수 흔적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과거 학술문헌에서 "IAU 규정에 어긋나게 행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사례가 100건 훨씬 넘게 발견됐다"면서 "기능적으로 유용했기 때문에 행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이라고 했다.
논문 공동저자인 존스 홉킨스대학 응용물리학연구소 커비 러년 박사는 천체는 궤도처럼 변할 수 있는 것보다는 본질적인 특성에 의해 규정하는 것이 옳다면서 행성은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크기가 큰지에 따라 단순하게 결정할 것을 권고했다.
메츠거 박사도 "이는 자의적 정의가 아니다"면서 "행성의 진화에서 구형을 유지할 때부터 지질학적으로 활발한 활동이 시작되는 것이 분명한 만큼 이는 중요한 이정표로 판명돼 있다"고 했다.
그러나 명왕성 너머 제9 행성을 찾는 연구를 진행 중인 캘리포니아공대 천문학자 콘스탄틴 바티긴 박사는 트윗을 통해 " 명왕성을 행성으로 다시 분류하는 것은 섬을 대륙이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리석은 것"이라며 과학적으로 볼 때 행성이나 왜소행성이라고 딱지를 붙이는데 연연해 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결국, 천체는 질량과 반지름, 궤도 등에 의해 특징지어진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면서 "우리가 무엇이라고 부르는 것보다는 이런 것이 더 중요하다"고 했다.
10일 스페이스닷컴 등 과학전문 매체에 따르면 센트럴플로리다대학 행성 과학자인 필립 메츠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 200년간의 학술 문헌을 검토한 결과, 명왕성의 행성 탈락 이유가 된 '깨끗한 궤도' 조항은 역사적으로 근거없는 잘못된 기준이라고 과학저널 '이카로스(Icarus)' 최신호에 밝혔다.
국제천문학연합(IAU)가 지난 2006년 표결로 행성의 정의를 바꿔 명왕성을 탈락시킨 근거로 삼은 기준을 정면으로 문제 삼은 것이다.
당시 천문학자들은 행성이 ▲태양 주위를 돌고 ▲구형(球形)을 유지할 수 있는 중력을 행사하기에 충분한 질량을 갖고있어야 하며 ▲궤도 상에 다른 천체가 없어야 하는 등 3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명왕성은 앞의 두 가지 조건은 충족했지만 태양을 도는 궤도가 얼음과 암석이 몰려있는 '카이퍼 벨트'와 겹쳐 마지막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고 왜소행성 '134340 플루토'로 강등됐다.
메츠거 박사 연구팀은 그러나 이 세 번째 기준이 규정을 바꿀 당시에는 과학자들이 소행성과 행성을 구별짓는 표준으로 주장돼 받아들여졌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했다.
지난 200년간의 학술문헌을 검토했지만, 이 기준을 적용한 연구는 1802년 태양계에서 최초로 왜소행성 '세레스(Ceres)'가 발견된 직후 단 한 차례밖에 없었으며, 그마저도 나중에 틀린 것으로 입증됐다는 것이다.
메츠거 박사는 "IAU의 행성 정의는 누구도 사용하지 않는 개념을 토대로 만든 것"이라며 이런 잘못된 정의로 인해 "우리 태양계에서 지구 다음으로 복합적이고 흥미로운 행성을 배제하게 됐다"고 했다.
지질학적으로 명왕성은 지구 다음의 가치를 갖고 있으며, 화성보다 더 역동적이고 생동감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15년 뉴허라이즌스호의 관측을 통해 명왕성에는 거대한 얼음 산과 지표면 밑의 대양, 구름이 있는 다층 대기, 고대 호수 흔적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과거 학술문헌에서 "IAU 규정에 어긋나게 행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사례가 100건 훨씬 넘게 발견됐다"면서 "기능적으로 유용했기 때문에 행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이라고 했다.
논문 공동저자인 존스 홉킨스대학 응용물리학연구소 커비 러년 박사는 천체는 궤도처럼 변할 수 있는 것보다는 본질적인 특성에 의해 규정하는 것이 옳다면서 행성은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크기가 큰지에 따라 단순하게 결정할 것을 권고했다.
메츠거 박사도 "이는 자의적 정의가 아니다"면서 "행성의 진화에서 구형을 유지할 때부터 지질학적으로 활발한 활동이 시작되는 것이 분명한 만큼 이는 중요한 이정표로 판명돼 있다"고 했다.
그러나 명왕성 너머 제9 행성을 찾는 연구를 진행 중인 캘리포니아공대 천문학자 콘스탄틴 바티긴 박사는 트윗을 통해 " 명왕성을 행성으로 다시 분류하는 것은 섬을 대륙이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리석은 것"이라며 과학적으로 볼 때 행성이나 왜소행성이라고 딱지를 붙이는데 연연해 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결국, 천체는 질량과 반지름, 궤도 등에 의해 특징지어진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면서 "우리가 무엇이라고 부르는 것보다는 이런 것이 더 중요하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